마이크로 러닝의 설계 방법 Part1 (2-5)
지난 강의를 통해 ‘왜 마이크로 러닝인가?’에 대한 이해가 충분하셨다면 이제 마이크로 러닝을 교육 설계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 지에 대해 궁금하실 것 같은데요.
마이크로 러닝의 설계 방법에 대해 오늘도 디디쌤이 강의 내용을 요약해드릴게요! 🙂
마이크로 러닝 설계의 핵심 요소
마이크로 러닝 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Goal, 즉 교육 목표가 무엇인지 입니다.
앞선 온라인 교육 방법 설계에서도 말씀드린 것처럼 ‘학습자가 교육을 통해 무엇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지’ 명확히 수립 후 설계가 진행되어야 합니다.
교육 목표가 명확히 수립됐다면 다음으로 고려할 요소는 당장의 수행 증진을 위한 목적 여부입니다.
예를 들어 세관 신고서 작성법과 같이 당장의 수행 증진이 필요한 교육에 대해 마이크로 러닝을 적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학습자에게 맞는 다양한 교육 방법을 적절하게 선택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무조건 짧은 영상으로 교육하는 것이 마이크로 러닝이 아니라고 말씀해주셨던 것처럼 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전달 방법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마지막으로 콘텐츠 제공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학습 과정에 있어 지속적인 피드백이 제공되어야만 마이크로 러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무엇을 마이크로 러닝으로?
무엇을 마이크로 러닝으로 설계하면 좋을 지에 대한 내용도 말씀해주셨는데요.
학습 경험 중에서도 중요도가 전부 다르기 때문에 가장 중요한 내용을 마이크로 러닝에 적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이크로 콘텐츠의 특징
마이크로 콘텐츠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Concise : 간명하게
- Learner Centric : 학습자 중심
- Accessibility : 접속이나 이용 용이
- Engagement : 몰입할 수 있게
- Storytelling : 맥락을 통해
- Real World Examples : 실생활의 사례를 통해
- Narrations : 알기 쉬운 설명으로
How to design
1. 바로 핵심 내용으로 들어가라
마이크로 콘텐츠 설계에 있어 고민 되는 지점이 지나치게 많은 정보를 담아서는 안되기 때문에 어떤 것을 남기고, 어떤 것을 잘라낼 지에 대한 선택일 것 같습니다.
이에 대해 교수님께선 바로 핵심 내용으로 들어가는 것이 좋다고 말씀해주셨는데요.
인트로, 개요, 역사, 내용 및 정의에 대해 사전에 설명하는 일반적인 학습 내용과는 달리 마이크로 러닝의 경우엔 거두절미하고 핵심 내용부터 설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사례 기반 시나리오에 모든 중요한 요소를 혼합하라
학습 내용을 전달할 때에는 맥락을 가진 이야기, 즉 실생활에 기반한 사례를 활용한다면 학습자를 몰입 시킬 수 있습니다.
3. Learning Gap에 초점을 두어라
‘핵심 내용으로 들어가라’ 와 유사한 내용인데요.
핵심 내용으로 바로 접근하기 어려운 주제의 경우 인트로, 개요 등의 분량을 줄이고 핵심 내용의 분량에 집중하는 것이 교육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더 효과적이라고 합니다.
4. 스크립트를 쓰고, 불필요한 말은 삭제하라
교육 분량을 짧게 만드는 것에 익숙하지 않으시다면 해당 팁을 활용해보세요!
일반적으로 강의하시는 것처럼 영상을 촬영하시고, 해당 음성 파일을 네이버 클로바노트와 같은 STT(Speech To Text) 프로그램을 통해 스크립트로 만들어 불필요한 말을 삭제하면 간명한(Concise) 마이크로 콘텐츠 제작이 가능합니다.
5. 다양한 방식의 전달 방식을 고려하라
마이크로 콘텐츠 제작이 반드시 동영상일 필요는 없습니다.
교육 대상자를 고려한 효과적인 방식에 대한 고민을 통해 카드 뉴스, 인포그래픽스, 게임형 등 다양한 방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6. 학습 시간을 고려하라
이론적으로 마이크로 콘텐츠는 학습 시간 5분이 넘어가면 학습자 집중도 저하로 인하여 학습 효과가 떨어진다고 합니다.
하지만 5분 내에 학습할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들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을 가질 필요는 없습니다.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해 어느 정도의 소요 시간이 필요할 지에 대한 고민을 통하여 적절한 교육 시간을 수립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이크로 러닝을 교육 설계에 적용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다음 시간에 이어 설명 드릴게요.
디디쌤이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