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 금융 UX 개선 프로젝트
태그

프로젝트 설명:
KB금융에서 부여하는 서비스의 UX를 분석하는 프로젝트입니다. Pay 서비스를 개선하고 보험 서비스의 방향에 대한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맡은 역할: 서비스 기획
활동 기간: 2021.05~2021.11.31
참여한 인원: 서비스 기획자 2, 디자이너 2
기여한 부분:
- 경쟁사의 Pay 서비스 분석
- 자사 Pay 서비스와 경쟁사 서비스 비교
- 가설 설정과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한 검증 진행
- 트렌드를 조사해 Pay 서비스에 적용 방안 제시
- '월렛 서비스'와 '미래클 모닝'보험 서비스 아이디어 제안
20대 사용자 설문을 통해 KB Pay에 대한 사용자의 불편을 파악했어요

금융 서비스 분석을 통해 금융사에서는 뱅킹, Pay 등 여러 앱을 만들어내고 있지만 그 구분의 모호함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사용자들은 Pay와 송금, 뱅킹 서비스의 차이점을 인식하기 힘들다는 가설을 설정하였습니다. 20 대 4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진행했고 그중 87.6%가 월렛 서비스, 송금, 페이를 구분하지 못한다는 점을 파악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58.1%가 페이의 존재의 이유를 잘 모르고 있다는 결과를 확인했습니다. '월렛 서비스' 개념 자체를 사용자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만드는 것이 필요했습니다.
앱스토어의 리뷰를 '월렛 서비스'의 불편함을 찾았어요

월렛 서비스를 제공하는 앱의 리뷰를 통해 사용자들이 월렛 서비스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확인했습니다. 월렛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람은 빠르게 앱을 켜서 결제를 하기를 원하는 사람이었지만 현재 월렛 서비스는 다양한 기능으로 인해 무게가 무거워 정작 필요한 기능을 사용하지 못한다는 점을 발견했습니다.
그렇게 '월렛은 월렛답게'라는 컨셉트로 월렛 서비스를 기획했어요

Pay 앱에는 결제에 필요한 기능만 넣어 빠르게 찾고 결제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또한 사용자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월렛 서비스를 실제 고객이 생각하는 실물 지갑 UI로 구성하여 월렛 서비스를 기획했습니다.
꼭 필요한 기능만 담았어요

꼭 필요한 기능으로만 구성하기 위해 사용자들이 실제 결제를 할 때 사용하는 것을 파악했어요. 메인 과업을 파악하고 이를 앱 안에 녹여낼 수 있도록 했습니다. 또한 기존 월렛 서비스를 잘 이용하고 있는 사용자를 조사하여 사용하는 이유를 파악했습니다. 조사를 바탕으로 잘 사용하고 있는 기능으로만 구성해 딱 필요한 기능으로 가벼운 앱을 만들고자 했습니다.
핵심 기능인 결제 기능을 가장 메인에 배치했어요

결제 기능을 가장 잘 보일 수 있는 위치에 배치하며 오프라인 상황에서도 바로 앱을 켜고 결제가 가능할 수 있도록 구성했습니다. 상황에 맞게 결제 수단을 변경 수 있도록 카드, QR코드, 숫자 결제 수단을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기획했습니다.
또한 지갑의 중요한 기능인 돈을 주고, 받을 수 있기 위해 송금하기 기능도 추가했습니다. 송금 기능을 더 편하게 하기 위해 자주 찾는 친구를 추려 간편 송금을 넣었습니다.
여러 멤버십을 하나의 바코드로 만들었어요

설문 조사 결과 54.5%가 멤버십 적립을 위해 Pay 서비스를 이용한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통합 적립 바코드를 기획했습니다. 여러 멤버십을 찾기 위한 불편한 여정을 거치지 않고 하나의 바코드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또한 통합이 되지 않는 멤버십은 아래에 슬라이드를 통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정보 저장소' 를 만들어 월렛 서비스를 차별화 했어요

설문 조사에서 사용자는 '정보 저장' 기능을 통해 월렛 서비스를 다른 금융 앱과 구분한다는 점을 파악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기존 뱅킹이나 여러 은행 앱과 월렛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해 월렛 서비스 내에는 신분증이나 자격증 등을 보관할 수 있는 '정보 저장소'를 만들어 다른 앱들과 구분하고자 했습니다.
결제 내역과 잔여 금액만 확인할 수 있어요

지갑에서 남은 현금을 확인하는 것처럼 디지털 월렛에서도 남은 잔액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러나 다른 송금 앱처럼 다른 상품들도 모두 확인할 수 없도록 했습니다. 월렛 서비스의 특징에 맞도록 무겁지 않게 잔액과 송금 정도만 확인할 수 있는 간단한 자산 확인만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결제한 금액을 바탕으로 자산 분석을 통해 오프라인보다 더 스마트한 월렛의 정체성을 부여했습니다.
지갑을 원하는 대로 꾸밀 수 있어요

사용자 조사를 통해 지갑은 '액세서리' 용도로 활용한다는 것을 파악했습니다. 디지털 월렛 서비스도 실문 지갑처럼 마음에 맞는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본인의 지갑에 이름을 설정할 수 있고 원하는 색상으로 지갑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최근 다이어리 꾸미기 등 자신의 개성을 만들고 표출하는 것을 중요시하기 때문에 디지털 월렛으로도 자신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KB금융 UX 개선 프로젝트를 통해 이런 실력을 키웠어요
기존 서비스를 분석을 바탕으로 가설을 설정하고 사용자 리서치를 바탕으로 검증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제 주관적인 관점이 아닌 데이터를 바탕으로 사용자를 파악하려고 했습니다. 자사 서비스와 같은 경험을 제공하는 경쟁사 서비스를 분석하여 장단점을 도출해 내고 자사 서비스와 비교했습니다. 같은 기능을 제공하더라도 서비스 별로 어떻게 경험을 제공하는지를 분석했습니다. 분석을 바탕으로 KB Pay에 적용하면 좋은 점을 KB. 스타일로 앱 내에 녹여내는 능력을 기를 수 있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