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이크로 러닝의 설계 방법 Part2 (2-6)
지난 시간에 이어 마이크로 러닝을 교육 설계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 지에 대해 디디쌤이 강의 내용을 요약해드릴게요! 🙂
마이크로 러닝, 교육 설계 활용법
1. 마이크로 러닝으로 가장 효과적인 교육 내용 선정
마이크로 러닝을 실제 교육 설계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반복해서 강조 드리는 것처럼 교육 목표가 분명해야 합니다.
내용에 있어서도 자발적인 학습이 가능해야 하는 만큼 핵심적인 내용으로만 구성해야 하며, 학습자의 수행 증진이 목적이 되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학습자 대상 지속적인 피드백도 빠져서는 안됩니다.
2. 적절한 전달 방법 결정
무조건 짧은 분량의 동영상 제공이 아닌 학습자의 특성, 현실적인 개발 가능성, 비용 대비 효율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전달 방법을 결정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3. 마이크로 러닝 유지 장치의 활용
자발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강제적 학습 규칙을 수립하고, 학습 의욕 및 자발성을 유발할 수 있도록 피드백을 제공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한 피드백은 교수자가 학습자에게 주는 피드백만이 아닌 같이 학습을 받는 동료가 서로에게 피드백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교육 효과를 증진 시킬 수 있습니다.
4. 오프라인 교육으로의 확장 활용
마지막으로, 만들어진 마이크로 러닝에 기반한 온라인 교육 설계를 오프라인 교육으로 확장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도 고민해보세요.
사전에 온라인 콘텐츠를 통하여 학습하고, 오프라인에서는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문제 해결 방안에 대해 더욱 깊이 있게 논하는 플립 러닝 방식을 적용해 볼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마이크로 러닝을 교육 설계에 정의부터, 필요성, 교육 설계에 적용하는 방법까지 말씀드렸는데요.
각자의 교육 설계에 마이크로 러닝을 적용하여 성공적인 교육이 되기를 기원하면서 마치겠습니다.
디디쌤이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