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 온라인 교육 설계하는 절차

나만의 온라인 교육 설계를 원하는 사람들을 위한 온라인 교육 설계의 기본법부터 학습자 중심으로 온라인 교육 설계하는 법까지 오늘은 온라인 교육 설계를 주제로 한 마지막 강의입니다. 온라인 교육 설계하는 절차에 대해 알려주셨는데요.
 
이번 강의도 디디쌤이 강의 내용을 요약해드릴게요! 🙂
 
온라인 교육의 설계 절차는 ‘ASSURE’ 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Analyze Learners (학습자 분석)
State Objectives (목표 진술)
Select Methods, Media and Materials (방법, 매체 및 자료 선정)
Utilize Media and Materials (매체와 자료 활용)
Require Learner Participation (학습자 참여 유도)
Evaluate and Revise (평가와 수정)
 
Analyze Learners (학습자 분석)
온라인 교육 설계의 핵심 3가지를 설명 드리면서 언급됐던 학습자 파악이 다시 한 번 등장했는데요. 교육의 대상이 누구이고, 어떠한 특징과 요구 사항을 가지고 있는 지에 따라 온라인 교육 설계가 달라져야 하는 만큼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이 드네요.
 
State Objectives (목표 진술)
‘교육 목표 > 교육 내용 전달’
교육 내용 전달보다 교육 목표를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계속 강조해주고 계시는데요.
어떠한 교육 내용을 넣을 지에 대한 고민보다 우선하여 설정한 교육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어떤 내용을 전달할 지의 순서대로 교육이 설계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론 또는 기술 습득이 목적인지, 지식의 확장이 목적 인지에 따라 교육의 방법이 달라지는 만큼 학습자 중심의 교육 설계에서도 말씀 드린 것처럼 교육을 통해 학습자가 무엇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지가 교육 목표에 꼭 포함되어야 합니다.
 
Select Methods, Media and Materials (방법, 매체 및 자료 선정)
자, 교육 목표를 명확하게 정했다면 목적에 맞는 교육 매체를 정해야겠죠?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 중 목적에 맞는 온라인 교육 방법을 적절히 선택하고, 교육 자료의 경우에도 영상, 이미지, 텍스트 형태의 강의 자료 중 어떠한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 가장 적절할지 등을 결정하면 됩니다.
 
Utilize Media and Materials (매체와 자료 활용)
위에서 정해진 교육 매체와 자료를 가지고 실제 강의 진행 시 어떻게 교육을 진행할 지에 대한 고민입니다.
실제 강의 진행 상황을 시뮬레이션 해보며 선택한 교육 매체와 자료의 적절성을 검토해보는 과정이 될 수 있겠네요.
 
Require Learner Participation (학습자 참여 유도)
Utilize Media and Materials (매체와 자료 활용) 단계에서 내용 전달 방식에 신경을 썼다면 Require Learner Participation (학습자 참여 유도) 단계에선 학습자 중심의 참여 교육을 어떻게 유도할 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합니다.
학습자에게 어떠한 질문을 던지고, 연습 및 피드백은 어떻게 진행할지, 협동 과제의 구성 방식 등을 고민하여 학습자가 내용 전달 받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닌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Evaluate and Revise (평가와 수정)
교육 설계의 마지막 단계는 평가와 이를 통한 개선 과정입니다.
가장 중요한 평가 포인트는 학습자들이 State Objectives (목표 진술) 단계에서 설정한 교육 목표에 잘 도달했는지 여부입니다.
목표 달성 여부에 따라 교육의 성과가 측정 되며, 목표한 수준만큼 학습자들의 학습 성취가 있었다면 교육 설계가 잘 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목표 수준에 미달하였다면 학습자들의 피드백을 통해 해당 교육 설계 단계를 개선하면 됩니다.
 
ASSURE, 해당 절차에 따라 여기까지 진행하셨다면 나만의 온라인 교육 설계가 가능합니다! 🎉
 
Design your own course!
 
디디쌤이었습니다. 🙇🏻
📰

1-3 온라인 교육 설계하는 절차

나만의 온라인 교육 설계를 원하는 사람들을 위한 온라인 교육 설계의 기본법부터 학습자 중심으로 온라인 교육 설계하는 법까지 오늘은 온라인 교육 설계를 주제로 한 마지막 강의입니다. 온라인 교육 설계하는 절차에 대해 알려주셨는데요.
 
이번 강의도 디디쌤이 강의 내용을 요약해드릴게요! 🙂
 
온라인 교육의 설계 절차는 ‘ASSURE’ 만 기억하시면 됩니다!
Analyze Learners (학습자 분석)
State Objectives (목표 진술)
Select Methods, Media and Materials (방법, 매체 및 자료 선정)
Utilize Media and Materials (매체와 자료 활용)
Require Learner Participation (학습자 참여 유도)
Evaluate and Revise (평가와 수정)
 
Analyze Learners (학습자 분석)
온라인 교육 설계의 핵심 3가지를 설명 드리면서 언급됐던 학습자 파악이 다시 한 번 등장했는데요. 교육의 대상이 누구이고, 어떠한 특징과 요구 사항을 가지고 있는 지에 따라 온라인 교육 설계가 달라져야 하는 만큼 굉장히 중요하다고 생각이 드네요.
 
State Objectives (목표 진술)
‘교육 목표 > 교육 내용 전달’
교육 내용 전달보다 교육 목표를 명확하게 전달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계속 강조해주고 계시는데요.
어떠한 교육 내용을 넣을 지에 대한 고민보다 우선하여 설정한 교육 목표에 도달하기 위해 어떤 내용을 전달할 지의 순서대로 교육이 설계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론 또는 기술 습득이 목적인지, 지식의 확장이 목적 인지에 따라 교육의 방법이 달라지는 만큼 학습자 중심의 교육 설계에서도 말씀 드린 것처럼 교육을 통해 학습자가 무엇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지가 교육 목표에 꼭 포함되어야 합니다.
 
Select Methods, Media and Materials (방법, 매체 및 자료 선정)
자, 교육 목표를 명확하게 정했다면 목적에 맞는 교육 매체를 정해야겠죠?
실시간 또는 비실시간 중 목적에 맞는 온라인 교육 방법을 적절히 선택하고, 교육 자료의 경우에도 영상, 이미지, 텍스트 형태의 강의 자료 중 어떠한 형태로 제공하는 것이 가장 적절할지 등을 결정하면 됩니다.
 
Utilize Media and Materials (매체와 자료 활용)
위에서 정해진 교육 매체와 자료를 가지고 실제 강의 진행 시 어떻게 교육을 진행할 지에 대한 고민입니다.
실제 강의 진행 상황을 시뮬레이션 해보며 선택한 교육 매체와 자료의 적절성을 검토해보는 과정이 될 수 있겠네요.
 
Require Learner Participation (학습자 참여 유도)
Utilize Media and Materials (매체와 자료 활용) 단계에서 내용 전달 방식에 신경을 썼다면 Require Learner Participation (학습자 참여 유도) 단계에선 학습자 중심의 참여 교육을 어떻게 유도할 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합니다.
학습자에게 어떠한 질문을 던지고, 연습 및 피드백은 어떻게 진행할지, 협동 과제의 구성 방식 등을 고민하여 학습자가 내용 전달 받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닌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해야 합니다.
 
Evaluate and Revise (평가와 수정)
교육 설계의 마지막 단계는 평가와 이를 통한 개선 과정입니다.
가장 중요한 평가 포인트는 학습자들이 State Objectives (목표 진술) 단계에서 설정한 교육 목표에 잘 도달했는지 여부입니다.
목표 달성 여부에 따라 교육의 성과가 측정 되며, 목표한 수준만큼 학습자들의 학습 성취가 있었다면 교육 설계가 잘 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목표 수준에 미달하였다면 학습자들의 피드백을 통해 해당 교육 설계 단계를 개선하면 됩니다.
 
ASSURE, 해당 절차에 따라 여기까지 진행하셨다면 나만의 온라인 교육 설계가 가능합니다! 🎉
 
Design your own course!
 
디디쌤이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