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수 설계의 기본
단국대학교 김민정 교수님께서 나만의 온라인 교육 설계를 원하는 사람들을 위해 온라인 교육 설계의 기본법을 알려주셨어요.
디디쌤이 강의 내용을 요약해드릴게요! 🙂

일반적 교수 설계의 핵심 3가지
교수님께서 교육 설계의 핵심을 아래와 같이 3가지로 정리해주셨는데요.
- 목표, 방법, 평가의 일관
- 학습자 파악
- 교육(수업)의 구성

- 목표, 방법, 평가의 일관
목표, 방법, 평가의 일관이란 교육의 목표를 가장 먼저 고민한 후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교육 방법이 무엇인지 찾고, 최초 설정했던 교육 목표 달성이 제대로 이루어 졌는지 평가하는 과정에 이르기까지 일관성 있게 교육을 설계해야 한다고 하셨어요.

- 학습자 파악
“모든 교육 대상자를 만족 시킬 수 있는 보편적인 교육 방법은 없다.”
“교육 대상자가 명확하게 파악되지 않으면 최적의 교육 설계가 불가능하기에 교육 대상자에 대한 파악이 성공적인 교육 설계의 기본”이라고 말씀해주셨는데요.
‘교육을 어떻게 조직할 것인지?’, ‘난이도는 어떻게 할 것인지?’, ‘어떠한 예시가 적절할지?’ 등 교육 대상자의 특징에 따라 교육 설계법이 달라 지는 만큼 누구를 타겟으로 할지 교육 대상자에 대한 파악이 교수 설계에 있어 가장 중심이 되어야 합니다.
※ 교수 설계를 위한 필수 학습자 정보
- 지식 (사전 지식 수준, 유사 교육 경험 등)
- 태도 (관심이나 흥미, 동기부여 수준 등)
- 사회적 특성 (개인적, 사회적 활동 선호 등)
- 신체적 특성 (장애 여부 등)
- 기타 (교육에 대한 특별한 요구)

- 교육(수업)의 구성
세 번째로 구조화된 체계적인 교육을 해야 한다고 말씀해주셨는데요.
크게 ‘도입 → 전개 → 정리’ 3단계로 정리하여 단계 별로 구성해야 하는 내용에 대해 설명해주셨어요.
먼저, 도입 단계의 경우 교육에 임할 준비가 충분치 않은 교육 대상자를 위한 준비 단계입니다.
도입 단계에 구성해야 할 점들로는 교육 대상자의 주의를 집중 시키고, 교육 주제에 대한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동기 유발, 교육이 끝나고 교육 대상자가 해낼 수 있어야 하는 교육 목표에 대한 안내가 있습니다.
전개는 본 교육을 이끄는 가장 중요한 단계입니다.
전개 단계에 구성해야 할 점으로는 학습 내용 제시, 학습자의 이해 증진을 위해 적절한 예시 제공을 통한 학습 안내, 교수자 중심의 단순 내용 전달이 교육의 전부가 아닌 만큼 학습자가 학습 내용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습, 학습자가 연습한 결과물을 토대로 주는 적절한 피드백이 있습니다.
최근의 추세를 보면 온라인 교육의 경우에도 단순히 콘텐츠만 제공하고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교육 과정을 통해 얻어갈 수 있는 결과물. 즉, 학습자 중심의 교육 설계가 주를 이루고 있는 만큼 연습과 피드백은 이러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 설계에 있어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인 점 꼭 기억해주세요!
마지막으로 교육 목표가 달성 되었는지 확인하는 정리 단계입니다.
정리 단계에서는 학습한 내용을 실제 상황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 지를 알려주고 학습자 스스로 생각해보는 전이 활동, 교육 설계 단계에서 세웠던 교육 목표가 제대로 수행되었는지 확인 및 평가를 진행합니다.
여기까지 단국대학교 김민정 교수님께서 말씀해주신 나만의 온라인 교육 설계를 위한 교육 설계의 기본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다음 시간엔 오늘 언급된 내용 중 학습자 중심의 온라인 교육 설계에 대해서 강의해주신다고 하니 정리한 내용을 들고 다시 인사 드릴게요. 🙇🏻
디디쌤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