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1 교수 설계의 기본

단국대학교 김민정 교수님께서 나만의 온라인 교육 설계를 원하는 사람들을 위해 온라인 교육 설계의 기본법을 알려주셨어요.
디디쌤이 강의 내용을 요약해드릴게요! 🙂
 
일반적 교수 설계의 핵심 3가지
 
교수님께서 교육 설계의 핵심을 아래와 같이 3가지로 정리해주셨는데요.
  1. 목표, 방법, 평가의 일관
  1. 학습자 파악
  1. 교육(수업)의 구성
 
1. 목표, 방법, 평가의 일관
목표, 방법, 평가의 일관이란 교육의 목표를 가장 먼저 고민한 후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교육 방법이 무엇인지 찾고, 최초 설정했던 교육 목표 달성이 제대로 이루어 졌는지 평가하는 과정에 이르기까지 일관성 있게 교육을 설계해야 한다고 하셨어요.
 
2. 학습자 파악
“모든 교육 대상자를 만족 시킬 수 있는 보편적인 교육 방법은 없다.”
“교육 대상자가 명확하게 파악되지 않으면 최적의 교육 설계가 불가능하기에 교육 대상자에 대한 파악이 성공적인 교육 설계의 기본”이라고 말씀해주셨는데요.
‘교육을 어떻게 조직할 것인지?’, ‘난이도는 어떻게 할 것인지?’, ‘어떠한 예시가 적절할지?’ 등 교육 대상자의 특징에 따라 교육 설계법이 달라 지는 만큼 누구를 타겟으로 할지 교육 대상자에 대한 파악이 교수 설계에 있어 가장 중심이 되어야 합니다.
 
※ 교수 설계를 위한 필수 학습자 정보
  • 지식 (사전 지식 수준, 유사 교육 경험 등)
  • 태도 (관심이나 흥미, 동기부여 수준 등)
  • 사회적 특성 (개인적, 사회적 활동 선호 등)
  • 신체적 특성 (장애 여부 등)
  • 기타 (교육에 대한 특별한 요구)
 
3. 교육(수업)의 구성
세 번째로 구조화된 체계적인 교육을 해야 한다고 말씀해주셨는데요.
크게 ‘도입 → 전개 → 정리’ 3단계로 정리하여 단계 별로 구성해야 하는 내용에 대해 설명해주셨어요.
먼저, 도입 단계의 경우 교육에 임할 준비가 충분치 않은 교육 대상자를 위한 준비 단계입니다.
도입 단계에 구성해야 할 점들로는 교육 대상자의 주의를 집중 시키고, 교육 주제에 대한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동기 유발, 교육이 끝나고 교육 대상자가 해낼 수 있어야 하는 교육 목표에 대한 안내가 있습니다.
 
전개는 본 교육을 이끄는 가장 중요한 단계입니다.
전개 단계에 구성해야 할 점으로는 학습 내용 제시, 학습자의 이해 증진을 위해 적절한 예시 제공을 통한 학습 안내, 교수자 중심의 단순 내용 전달이 교육의 전부가 아닌 만큼 학습자가 학습 내용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습, 학습자가 연습한 결과물을 토대로 주는 적절한 피드백이 있습니다.
최근의 추세를 보면 온라인 교육의 경우에도 단순히 콘텐츠만 제공하고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교육 과정을 통해 얻어갈 수 있는 결과물. 즉, 학습자 중심의 교육 설계가 주를 이루고 있는 만큼 연습피드백은 이러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 설계에 있어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인 점 꼭 기억해주세요!
 
마지막으로 교육 목표가 달성 되었는지 확인하는 정리 단계입니다.
정리 단계에서는 학습한 내용을 실제 상황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 지를 알려주고 학습자 스스로 생각해보는 전이 활동, 교육 설계 단계에서 세웠던 교육 목표가 제대로 수행되었는지 확인 및 평가를 진행합니다.
 
여기까지 단국대학교 김민정 교수님께서 말씀해주신 나만의 온라인 교육 설계를 위한 교육 설계의 기본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다음 시간엔 오늘 언급된 내용 중 학습자 중심의 온라인 교육 설계에 대해서 강의해주신다고 하니 정리한 내용을 들고 다시 인사 드릴게요.
 
디디쌤이었습니다. 🙇🏻
📰

1-1 교수 설계의 기본

단국대학교 김민정 교수님께서 나만의 온라인 교육 설계를 원하는 사람들을 위해 온라인 교육 설계의 기본법을 알려주셨어요.
디디쌤이 강의 내용을 요약해드릴게요! 🙂
 
일반적 교수 설계의 핵심 3가지
 
교수님께서 교육 설계의 핵심을 아래와 같이 3가지로 정리해주셨는데요.
  1. 목표, 방법, 평가의 일관
  1. 학습자 파악
  1. 교육(수업)의 구성
 
1. 목표, 방법, 평가의 일관
목표, 방법, 평가의 일관이란 교육의 목표를 가장 먼저 고민한 후 교육 목표 달성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교육 방법이 무엇인지 찾고, 최초 설정했던 교육 목표 달성이 제대로 이루어 졌는지 평가하는 과정에 이르기까지 일관성 있게 교육을 설계해야 한다고 하셨어요.
 
2. 학습자 파악
“모든 교육 대상자를 만족 시킬 수 있는 보편적인 교육 방법은 없다.”
“교육 대상자가 명확하게 파악되지 않으면 최적의 교육 설계가 불가능하기에 교육 대상자에 대한 파악이 성공적인 교육 설계의 기본”이라고 말씀해주셨는데요.
‘교육을 어떻게 조직할 것인지?’, ‘난이도는 어떻게 할 것인지?’, ‘어떠한 예시가 적절할지?’ 등 교육 대상자의 특징에 따라 교육 설계법이 달라 지는 만큼 누구를 타겟으로 할지 교육 대상자에 대한 파악이 교수 설계에 있어 가장 중심이 되어야 합니다.
 
※ 교수 설계를 위한 필수 학습자 정보
  • 지식 (사전 지식 수준, 유사 교육 경험 등)
  • 태도 (관심이나 흥미, 동기부여 수준 등)
  • 사회적 특성 (개인적, 사회적 활동 선호 등)
  • 신체적 특성 (장애 여부 등)
  • 기타 (교육에 대한 특별한 요구)
 
3. 교육(수업)의 구성
세 번째로 구조화된 체계적인 교육을 해야 한다고 말씀해주셨는데요.
크게 ‘도입 → 전개 → 정리’ 3단계로 정리하여 단계 별로 구성해야 하는 내용에 대해 설명해주셨어요.
먼저, 도입 단계의 경우 교육에 임할 준비가 충분치 않은 교육 대상자를 위한 준비 단계입니다.
도입 단계에 구성해야 할 점들로는 교육 대상자의 주의를 집중 시키고, 교육 주제에 대한 호기심을 유발할 수 있는 동기 유발, 교육이 끝나고 교육 대상자가 해낼 수 있어야 하는 교육 목표에 대한 안내가 있습니다.
 
전개는 본 교육을 이끄는 가장 중요한 단계입니다.
전개 단계에 구성해야 할 점으로는 학습 내용 제시, 학습자의 이해 증진을 위해 적절한 예시 제공을 통한 학습 안내, 교수자 중심의 단순 내용 전달이 교육의 전부가 아닌 만큼 학습자가 학습 내용을 충분히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연습, 학습자가 연습한 결과물을 토대로 주는 적절한 피드백이 있습니다.
최근의 추세를 보면 온라인 교육의 경우에도 단순히 콘텐츠만 제공하고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학습자가 교육 과정을 통해 얻어갈 수 있는 결과물. 즉, 학습자 중심의 교육 설계가 주를 이루고 있는 만큼 연습피드백은 이러한 학습자 중심의 교육 설계에 있어 가장 중요한 구성 요소인 점 꼭 기억해주세요!
 
마지막으로 교육 목표가 달성 되었는지 확인하는 정리 단계입니다.
정리 단계에서는 학습한 내용을 실제 상황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 지를 알려주고 학습자 스스로 생각해보는 전이 활동, 교육 설계 단계에서 세웠던 교육 목표가 제대로 수행되었는지 확인 및 평가를 진행합니다.
 
여기까지 단국대학교 김민정 교수님께서 말씀해주신 나만의 온라인 교육 설계를 위한 교육 설계의 기본법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다음 시간엔 오늘 언급된 내용 중 학습자 중심의 온라인 교육 설계에 대해서 강의해주신다고 하니 정리한 내용을 들고 다시 인사 드릴게요.
 
디디쌤이었습니다. 🙇🏻